https://cleaning-toolbox.tistory.com/60 카카오 디벨로퍼 인가코드, OWNER 토큰 현재 저는 카카오 디벨로퍼와 카카오 i 오픈빌더를 함께 사용해서 친구들에게 기온, 미세먼지, 확진자 수를 제가 만든 챗봇을 통해 자신이 알고 싶은 항목들과 시간을 설정하여 알람이 오게끔 cleaning-toolbox.tistory.com 위의 게시글을 보고 OWNER 토큰을 이해하셨다면 이제는 카톡 알림을 받을 User의 토큰을 최초 한 번은 발급받아야합니다. 과정은 이렇게 됩니다. User의 카카오 로그인 url 접속 -> 카카오 로그인 -> 권한 허용 -> code 발급 -> code를 이용하여 Token 생성 위의 사진처럼 카카오 디벨로퍼에서 요청한 권한들을 User에게서 받을 수 있고..
현재 저는 카카오 디벨로퍼와 카카오 i 오픈빌더를 함께 사용해서 친구들에게 기온, 미세먼지, 확진자 수를 제가 만든 챗봇을 통해 자신이 알고 싶은 항목들과 시간을 설정하여 알람이 오게끔 하는 앱을 개발하였습니다. 앱을 개발하기전에 앞서서 카카오 데브톡에 디벨로퍼로 만든 자신의 앱을 비즈니스 앱으로 신청해서 비즈앱이 되어야만 친구들에게 메시지를 보낼 수 있습니다. 카카오 디벨로퍼를 사용하는데에 있어서 토큰과 관련해서 어려운점이 많았는데 이부분을 조금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1. 카카오 디벨로퍼에서 앱을 만들었다면 자신의 REST API키를 따로 메모해두는것이 편합니다. 2. 자신이 만든 서버가 있다면 서버의 URL주소를 Redirect URI에 추가해주시고 없으시다면 example.com을 그대로 사용하시면..
이 부분에 대해서 되게 많은 고민을 했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왼쪽에서 보이는 콤보박스에 있는 값을 선택하면 중간에 보이는 기준시간을 바꾸고 기준시간에 맞춰서 밑에 보이는 각 구별의 날씨또한 시간에 맞춰서 바뀌게끔 하고 싶었습니다. 단순히 콤보박스 값을 HTML 자체에서 반영하려고 하면 몇가지의 방법이 있었지만 원했던 방식은 아니였습니다. 그래서 조금 편법(?)을 사용하였습니다. Dogyu's Server 기준시간: {{date}} 시간선택 (3시간 간격) -- 선택 -- {% for n in range(0,(count-1)) %} {{time[n]['date']}} {% endfor %} 확인 위와 같이 HTML 부분을 작성한다음 콤보박스에 있는 값을 선택하게되면 해당 시간을 URL주소로 바꿔 페이지로..
저는 현재 아래 사진처럼 서울의 구마다 날씨를 기상청에서 받아와 표현해주는 페이지를 만들었습니다. 쉬운 코딩이라고 생각하실수도 있지만 맨 처음 지식이 전무하던 상태에서 데이터를 파이썬 Flask에서 HTML로 넘기는것이 많이 어려웠습니다. 그렇기에 제가 했던 방식이 나중에 참고되거나 도움이될까봐 작성합니다. @app.route('/weather', methods=['GET', 'POST']) def weather_gui(): global select_date # select_date 변수에 원하는 날짜값을 담고 추후에 사용할 기회가 있기에 전역변수로 생성했습니다. ctime, count = count_time() # ctime = 원하는 시간간격들을 설정하기위한 변수, count = ctime의 개수입니..
AWS EC2에서 Flask를 사용하던 중 OSError: [Errno 98] Address already in use 이러한 에러가 나왔습니다. 아마 Flask를 종료하지않고 EC2와 연동되어있던 VS Code를 재시작하였는데 Flask는 계속 살아있는 것 같습니다. 저는 VS Code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VS Code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1. sudo lsof -i :5555 -> 5555 포트를 사용하고 있는 Process 표시 2. 그 후 죽이고 싶은 Process에 PID넘버를 숙지합니다. [ec2-user@ip-172-31-38-223 ~]$ sudo lsof -i :5555 COMMAND PID USER FD TYPE DEVICE SIZE/OFF NODE NAME python3 158..
파이썬 실습을 하는 도중 공공 API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MongoDB에 저장하고 있는데 뭔가 시간이 다른것 같아 이 부분에 대해서 찾아봤습니다. 1. 보니깐 한국 시간이 아닌 세계 협정 시간으로 설정되있는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2. 아래와 같이 코딩 후 확인을 해보면 정상적으로 시간대가 맞춰지게 됩니다.
앞에 부분을 다 했다는 전제하에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1. MongoDB 이미지를 설치합니다. docker pull mongo 2. 아래와 같은 코드로 MongoDB를 Docker로 설치합니다. docker run --name myMongoDB -v /home/ec2-user/mongodb:/data/db -d -p 27017:27017 mongo # 이름은 myMonogoDB로 로컬컴퓨터의 monodb 디렉토리와 컨테이너의 db 디렉토리를 마운트시키고 실행한다 3. 아래처럼 docker의 컨테이너 리스트를 볼 수 있습니다. 4. docker의 간단 명령어를 알아보겠습니다. docker start myMongoDB # 컨테이너 시작 docker stop myMongoDB # 컨테이너 중지 docker ..
먼저 저는 툴로 VScode를 사용하고 있으며 EC2와 VScode를 잘 모르신다면 이 게시글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cleaning-toolbox.tistory.com/39?category=965777 AWS-기초 EC2와 VS Coode 연동하기 이제 본격적으로 EC2 서비스를 이용하기 전에 VS code를 주로 사용하는 저에게는 꼭 필요한 절차였기에 기억하고자 작성합니다. 1. EC2를 생성했으면 EC2의 정보에 들어가 연결 버튼을 누릅니다. 2. SS cleaning-toolbox.tistory.com docker를 설치하고 그 안에 Nginx를 설치해보겠습니다. 직접 해보면서 하는거라 시행착오도 많고 이상한 부분들이 있을지 모르니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EC2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