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AWS/실습(기초)
Window 기반의 Docker 설정법이며 저는 현재 AWS EC2안에 있는 Docker의 시간을 서울과 동기화 해주고 싶었습니다. 1. 아래의 코드를 치면서 해당 컨테이너의 시간 설정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docker exec [container_id] date 2. docker를 개별적으로 실행하실 때 -e "TZ=Asia/Seoul" 을 입력하여 시간대를 Seoul로 맞춰줍니다. docker run -e "TZ=Asia/Seoul" 다시 1번에 명령어를 실행했을경우 현재의 서울시간과 동기화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docker를 새로 실행하지 않고 실행중인 상태에서 바꾸는 법은 추후에 공부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AWS/실습(기초)
이번에는 EC2에 Docker를 이용해서 MariaDB를 설치해봤습니다. 개발자라면 Docker를 많이 이용할줄도 알아야된다고해서 어떤 느낌이고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볼겸 천천히 사용해보려고 합니다. 1. 먼저 root권한을 준 후 docker를 설치합니다. 2. 이러한 방식으로도 Docker를 설치할 수 있는데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3. service docker start로 Docker를 실행해줍니다. 4. Docker에 MariaDB 이미지가 있는지 검색해봅니다. 5. 있는걸을 확인한 후에 MariaDB를 설치하고 최근 버전이 필요하기에 server:latest를 적어줍니다. 만약 특정한 버전이 필요하면 server:10.x 라고 적으시면 됩니다. 6. 설치된 Docker 이미..
·AWS/실습(기초)
저는 DB로 Maria DB를 선택하였고 EC2에 설치하는 방법을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생각보다 오류가 많았던 것 같아서 제가 했던 방법 그대로 작성하겠습니다. 1. VS Code 터미널창에서 root계정으로 바꾼후 MariaDB-server를 설치하려니 저렇게 에러가 났습니다. 2. 구글링을 한 결과 MairaDB.repo를 만들고 아래와 같이 작성했습니다. [mariadb] name = MariaDB baseurl = http://yum.mariadb.org/10.6/centos7-amd64 gpgkey = https://yum.mariadb.org/RPM-GPG-KEY-MariaDB gpgchck = 1 3. 설정을 만들어 주고 실행하니 정상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4. maria..
·AWS/실습(기초)
EC2에서 Apache를 설치하고 간단한 텍스트가 표시되도록 웹 서버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그 전에 Apache와 NginX를 비교한 글도 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https://cleaning-toolbox.tistory.com/43?category=953693 Apache와 NginX를 비교 ( 아파치 vs 엔진엑스) 아직까지 한번도 Apache라던지 NginX등 웹 서버 소프트웨어를 사용해본적이 없기에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이 두가지의 소프트웨어가 제일 인기가 많았고 어떤 것에 차이가 있고 각각의 장단 cleaning-toolbox.tistory.com 1. VS Code로 EC2에 접속을 한 후 user에서 root 권한으로 바꿔줍니다. 2. yum install httpd -y ap..
·AWS/실습(기초)
이제 본격적으로 EC2 서비스를 이용하기 전에 VS code를 주로 사용하는 저에게는 꼭 필요한 절차였기에 기억하고자 작성합니다. 1. EC2를 생성했으면 EC2의 정보에 들어가 연결 버튼을 누릅니다. 2. SSH 클라이언트칸으로 들어가 빨간박스 안에 있는 부분에서 (user name)@ec2~~ 부분을 숙지해둡니다. 3. VS Code에서 remote-SSH 확장프로그램을 설치한 다음 Open SSH configuration FIle로 들어가줍니다. 4. 자신의 컴퓨터의 config에 들어가줍니다. 5. config 맨 밑에 아래와 같이 작성해줍니다. Host aws1 HostName 빨간박스부분 User ec2-user # uesr name IdentityFile # pem 파일 경로 6. 그 후 다..
·AWS/실습(기초)
간단한 프로그램들은 Github를 통해 EC2에서 돌리기 편하다고 생각하여 Github와 연동해보려고 합니다. Github를 한 번도 안써보신 분들은 이 글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cleaning-toolbox.tistory.com/32?category=953693 Git, Github를 다뤄보자 Git과 Github는 IT분야 종사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본 단어이며 실무에서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용할 때마다 명령어들을 까먹고 헷갈려 매번 찾아보는게 귀찮아서 정리하고자 cleaning-toolbox.tistory.com 1. 먼저 EC2에 Github를 설치해줘야합니다. 설치되어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sudo yum install git 2. 설치가 잘되었다면 ..
·AWS/실습(기초)
EC2로 기본적인 예제들만 다뤄봤는데 이제는 EC2에서 파이썬모듈을 실행하여 HTML양식의 어떠한 서버를 구동해보겠습니다. 만약 EC2에 대한 개념을 모르시는 분께서는 이 페이지부터 시작해서 연습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https://cleaning-toolbox.tistory.com/2?category=952399 AWS-입문(1주차) EC2 배포 AWS에 들어가기 전 클라우드의 개념부터 알아봤습니다. 클라우드란? 인터넷을 통해서 언제 어디서든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만큼 IT 리소스(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크)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 cleaning-toolbox.tistory.com 1. 먼저 어느 규모의 서버를 선정할지 몰라 프리티어가 사용가능한 규모로 EC2를 만들었습니다. 2. 제일 먼저 ..
·AWS/실습(입문)
1. Cloudformation으로 아래의 URL의 템플릿을 통해 스택을 구성해줍니다. https://s3.ap-northeast-2.amazonaws.com/cloudformation.cloudneta.net/Wordpress/aws-wp.yaml 2. 스택의 생성단계 맨 밑부분에 항상 체크박스에 체크해줍니다. 3. 스택이 정상적으로 생성되었다면 AWS RDS로 들어가 데이터베이스를 아래의 설정과 같이 생성해줍니다. # 별로 언급이 없는 부분은 기본값 설정입니다! 생성 방식 : 표준 생성 엔진 옵션 : MySQL 템플릿 : 개발/테스트 DB 인스턴스 식별자 : wpdb (현재 AWS 리전에서 AWS 계정이 소유하는 모든 DB 인스턴스에 대해 유일, 각자 편하게 설정) 마스터 사용자 이름 : root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