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버네티스의 서비스 타입을 알아보기 전에, 쿠버네티스의 서비스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쿠버네티스에서의 서비스는 pod들을 통해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네트워크에 노출시키는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od가 다른 pod를 찾을 때, IP나 호스트 이름같은 경우는 pod의 일회성 특징 때문에 언제든지 사라질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변하지 않는 진입점인 서비스라는 것을 통하여 해결을 하게 되는겁니다. 이러한 서비스는 크게 3가지로 분류됩니다. (External Name은 제외하겠습니다) 1. Cluster IP 2. Node Port 3. Load Balancer 1. Cluster IP - pod들이 클러스터 내부의 다른 리소스들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가상의 IP이..
쿠버네티스
쿠버네티스를 많이 들어왔지만 쓸 기회가 올까? 싶었지만 그 기회가 왔습니다. 그렇기에 쿠버네티스의 정확한 개념을 잡고자 내용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쿠버네티스 = 오케스트레이션 하는 도구이다. 여기서 오케스트레이션이 과연 뭘까? 쿠버네티스가 도대체 뭘까? 위의 내용을 알기 전에 알아야 할 개념들이 있습니다. 컨테이너 = 앱이 구동되는 환경까지 감싸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ex-흔히 아는 도커 컨테이너) 컨테이너 런 타임 = 위의 컨테이너라는 기술을 다루는 도구 도커 = 컨테이너 런타임 중에 가장 유명한 것 오케스트레이션 = 여러 컨테이너를 관리하고 사용하는 환경 설정을 관리하는 동작 쿠버네티스 = 컨테이너 런타임을 통해 컨테이너를 오케스트레이션 하는 도구 위의 5가지 순서대로 천천히 읽으시면 쿠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