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 부분을 다 했다는 전제하에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1. MongoDB 이미지를 설치합니다. docker pull mongo 2. 아래와 같은 코드로 MongoDB를 Docker로 설치합니다. docker run --name myMongoDB -v /home/ec2-user/mongodb:/data/db -d -p 27017:27017 mongo # 이름은 myMonogoDB로 로컬컴퓨터의 monodb 디렉토리와 컨테이너의 db 디렉토리를 마운트시키고 실행한다 3. 아래처럼 docker의 컨테이너 리스트를 볼 수 있습니다. 4. docker의 간단 명령어를 알아보겠습니다. docker start myMongoDB # 컨테이너 시작 docker stop myMongoDB # 컨테이너 중지 docker ..
먼저 저는 툴로 VScode를 사용하고 있으며 EC2와 VScode를 잘 모르신다면 이 게시글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cleaning-toolbox.tistory.com/39?category=965777 AWS-기초 EC2와 VS Coode 연동하기 이제 본격적으로 EC2 서비스를 이용하기 전에 VS code를 주로 사용하는 저에게는 꼭 필요한 절차였기에 기억하고자 작성합니다. 1. EC2를 생성했으면 EC2의 정보에 들어가 연결 버튼을 누릅니다. 2. SS cleaning-toolbox.tistory.com docker를 설치하고 그 안에 Nginx를 설치해보겠습니다. 직접 해보면서 하는거라 시행착오도 많고 이상한 부분들이 있을지 모르니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EC2를..
이번에 포트폴리오 겸 저의 실력 향상을 위해 파이썬을 이용하여 프로젝트를 하나 계획했습니다. 혼자서 진행하기에 맨 처음 설계부터 시작해서 제가 할 수 있는 범위를 정하고 어플리케이션의 내용을 생각하면서 차근차근 베이스부터 쌓아가기로 시작했습니다. 먼저 저의 인프라는 약 이렇습니다. 3-tier로 설계했으며 아래에 각각의 S/W를 선정한 이유를 작성했습니다. APache와 NginX를 정확히 모르신다면 이 게시글을 참고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https://cleaning-toolbox.tistory.com/43 Apache와 NginX를 비교 ( 아파치 vs 엔진엑스) 아직까지 한번도 Apache라던지 NginX등 웹 서버 소프트웨어를 사용해본적이 없기에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이 두가지의 소프트웨어..
RDBMS와 NoSQL은 DB의 종류이며 각각의 사용용도에 따라 다르게 이용됩니다. 빠르게 본론으로 RDBMS의 장,단점과 NoSQL의 장,단점을 통해 비교해보겠습니다. RDBMS의 장점 - 정해진 스키마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명확한 데이터 구조가 보장됩니다. - 데이터의 Update가 빠릅니다. - 데이터의 중복을 피하기에 공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RDBMS의 단점 - 스키마 규격에 맞춰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 테이블간 관계가 있기에 큰 시스템의 경우 복잡한 쿼리가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 성능을 향상시키는 부분에 있어 비용적으로 부담이 큽니다. - 스키마가 변경될 경우 번거롭고 어려움이 있습니다. RDBMS는 MySQL, MariaDB, Oracle, MSAzure 등이..
요즘 AWS EC2에 Maria DB를 설치하여 기상데이터를 계속해서 받아오는 중입니다. 매번 모듈을 실행시킬수는 없어서 주기적으로 모듈을 실행시켜주는 방법을 찾아봤습니다. 많은 분들이 Crontab이 간단하여 사용하기 편하다고 하셔서 사용방법을 숙지하고자 작성합니다. Cron은 Unix계열 OS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잡 스케줄러입니다. Cron을 이용하면 되게 간단하고 편하게 모듈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1. 터미널에서 Crontab -e 를 입력하면 Vi편집기가 뜨게됩니다. crontab -e 2. 수정 모드인 i키를 누르고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 * * * * python3 /home/ec2-user/db/db_data.py # 시간 설정, 파이썬 절대경로, 실행할 모듈 절대경..
Python 언어 기반 Web Framework의 대표인 Flask와 Django의 차이점을 정확히 몰랐고 누군가가 왜 Flask를 사용하는지, 왜 Django를 사용하는지에 대해 물으면 할 말이 없을것 같아 이렇게 찾아서 공부하게 됐습니다. Django와 Flask는 둘 중 뭐가 더 좋다고 할 수 없을 정도로 각각의 특징이 있고 또한 공통점이 있습니다. 대부분은 자신이 익숙한 Framework를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만약 입문하시는 분들이 어떠한 Web Framework를 사용할지 고민이시면 아래의 특징을 보고 결정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Flask는 가벼운 Framework이며 개발자가 대부분을 설정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Django는 10배나 무거운 Framework이기에 필요한것들만 뽑아..
아직까지 한번도 Apache라던지 NginX등 웹 서버 소프트웨어를 사용해본적이 없기에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이 두가지의 소프트웨어가 제일 인기가 많았고 어떤 것에 차이가 있고 각각의 장단점이 무엇인지 궁금하였습니다. 먼저 사용량을 보기위해 구글 트렌스에서 단순하게 Apache와 NginX의 검색량을 찾아봤습니다. 아래 그림에선 파란색 = Apache, 빨간색 = NginX입니다. 전 세계로 봤을때는 아직까지 Apache의 점유율이 되게 높다고 생각되지만 국내로 봤을 경우에는 점점더 Nginx가 빠르게 쫓아오는듯한 그래프를 볼 수 있었습니다. 2018, 2019년만 보아도 국내에서의 Apache와 NginX의 점유율은 상당히 격차가 컸었는데 지금에서는 격차가 많이 좁혀졌다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이번에는 EC2에 Docker를 이용해서 MariaDB를 설치해봤습니다. 개발자라면 Docker를 많이 이용할줄도 알아야된다고해서 어떤 느낌이고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볼겸 천천히 사용해보려고 합니다. 1. 먼저 root권한을 준 후 docker를 설치합니다. 2. 이러한 방식으로도 Docker를 설치할 수 있는데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3. service docker start로 Docker를 실행해줍니다. 4. Docker에 MariaDB 이미지가 있는지 검색해봅니다. 5. 있는걸을 확인한 후에 MariaDB를 설치하고 최근 버전이 필요하기에 server:latest를 적어줍니다. 만약 특정한 버전이 필요하면 server:10.x 라고 적으시면 됩니다. 6. 설치된 Docker 이미..
저는 DB로 Maria DB를 선택하였고 EC2에 설치하는 방법을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생각보다 오류가 많았던 것 같아서 제가 했던 방법 그대로 작성하겠습니다. 1. VS Code 터미널창에서 root계정으로 바꾼후 MariaDB-server를 설치하려니 저렇게 에러가 났습니다. 2. 구글링을 한 결과 MairaDB.repo를 만들고 아래와 같이 작성했습니다. [mariadb] name = MariaDB baseurl = http://yum.mariadb.org/10.6/centos7-amd64 gpgkey = https://yum.mariadb.org/RPM-GPG-KEY-MariaDB gpgchck = 1 3. 설정을 만들어 주고 실행하니 정상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4. maria..
EC2에서 Apache를 설치하고 간단한 텍스트가 표시되도록 웹 서버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그 전에 Apache와 NginX를 비교한 글도 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https://cleaning-toolbox.tistory.com/43?category=953693 Apache와 NginX를 비교 ( 아파치 vs 엔진엑스) 아직까지 한번도 Apache라던지 NginX등 웹 서버 소프트웨어를 사용해본적이 없기에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이 두가지의 소프트웨어가 제일 인기가 많았고 어떤 것에 차이가 있고 각각의 장단 cleaning-toolbox.tistory.com 1. VS Code로 EC2에 접속을 한 후 user에서 root 권한으로 바꿔줍니다. 2. yum install httpd -y 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