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300x250
DevOps에서 IaC를 사용하여 인프라를 관리하는데,
IaC를 사용하면서 편리한 인프라의 재구성과, 테스트 및 실행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IaC의 대표적인 도구들은 Terrform, Ansible, Puppet 등이 있습니다.
Terraform(테라폼)
- Hashicorp 언어를 사용하며 사용자 친화적이다.
- 오케스트레이션 도구로서, 어떤 부분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계산해서 리로드를 시도한다.
- 선언적 언어이다.
- EC2를 5대 배포해야할 때 테라폼은 EC2 = 5, 이후 8대로 늘려야 하면 EC2 = 8 로 한다.
Ansible(앤서블)
- 가볍고 배포기능이 빠르다.
- 구성관리 도구로서, 시스템을 재설정하지 않고 시스템을 교체하는 대신 문제를 복구하려고 한다. 그렇기에 Terraform이 더 상위호환으로 간주된다.
- 절차적 언어이다.
- AWS와 연동이 잘되며 100개에 가까운 모듈을 연결할 수 있다.
- 인프라를 자동으로 관리하는데 초점이 맞춰져있다.
- EC2를 5대 배포해야할 때 앤서블은 EC2 : 5, 이후 8대로 늘려야 하면 EC2 : 3 으로 한다.
- 에이전트가 없기에 시스템 리소스 활용도도 향상된다.
728x90
300x250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Grafana란? (0) | 2022.03.15 |
---|---|
Prometheus란? (0) | 2022.03.15 |
DevOps란? (0) | 2022.03.05 |
URI와 URL의 차이 (0) | 2022.01.27 |
Visual Studio Code(VS Code) 유용한 단축키 모음 (0) | 2021.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