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leaning-toolbox.tistory.com/8
AWS-SAA) S3 문제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s(S3) -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구축된 하나의 저장 공간입니다. -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Google Drive나 Naver Mybox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
cleaning-toolbox.tistory.com
위의 이론적인 부분들을 공부한 후에 밑에 문제를 보시면 이해가 더 빠릅니다.
예시문제 및 나만의 풀이
A media company is evaluating the possibility of moving its systems to the AWS Cloud. The company needs at least 10 TB of storage with the maximum possible
I/O performance for video processing, 300 TB of very durable storage for storing media content, and 900 TB of storage to meet requirements for archival media that is not in use anymore.
Which set of services should a solutions architect recommend to meet these requirements?
한 미디어 회사가 시스템을 AWS 클라우드로 이전할 가능성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가능한 최대 10TB 이상의 스토리지가 필요합니다. 비디오 처리를 위한 I/O 성능, 미디어 콘텐츠 저장을 위한 300TB의 내구성이 뛰어난 스토리지,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아카이브 미디어에 대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900TB의 스토리지.
솔루션 설계자는 이러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어떤 서비스 세트를 권장해야 합니까?
문제를 해석해보자면 회사는 10TB이상의 스토리지, 300TB의 내구성이 뛰어난 스토리지, 900TB의 액세스가 적은 데이터를 위한 스토리지가 필요한데 어떤 서비스를 추천하는지에 대한 문제인 것 같습니다.
A. Amazon EBS for maximum performance, Amazon S3 for durable data storage, and Amazon S3 Glacier for archival storage
B. Amazon EBS for maximum performance, Amazon EFS for durable data storage, and Amazon S3 Glacier for archival storage
C. Amazon EC2 instance store for maximum performance, Amazon EFS for durable data storage, and Amazon S3 for archival storage
D. Amazon EC2 instance store for maximum performance, Amazon S3 for durable data storage, and Amazon S3 Glacier for archival storage
A. 최대 성능을 위한 Amazon EBS, 내구성 있는 데이터 스토리지를 위한 Amazon S3, 아카이브 스토리지를 위한 Amazon S3 Glacier
B. 최대 성능을 위한 Amazon EBS, 내구성 있는 데이터 스토리지를 위한 Amazon EFS, 아카이브 스토리지를 위한 Amazon S3 Glacier
C. 최대 성능을 위한 Amazon EC2 인스턴스 스토어, 내구성 있는 데이터 스토리지를 위한 Amazon EFS, 아카이브 스토리지를 위한 Amazon S3
D. 최대 성능을 위한 Amazon EC2 인스턴스 스토어, 내구성 있는 데이터 스토리지를 위한 Amazon S3, 아카이브 스토리지를 위한 Amazon S3 Glacier
마지막 스토리지는 더이상 사용하지 않는 아카이브 스토리지라기에 Glacier가 정확한 것 같아 C를 제외하였고,
내구성 있는 스토리지는 EFS보단 S3이며 최대 성능은 EBS보단 EC2 인스턴스 스토어가 더 좋다고 생각하여 D를 선택했습니다.
나의 답 : D
실제 답 : D
위의 내용은 지극히 주관적인 의견이기에 살을 덧붙여 주시거나 추가적인 의견은 언제든지 환영입니다.
문제 해설이 아니라 저의 문제 풀이를 적은 것이기에 오해없으시길 바라겠습니다 :)
'AWS > SA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SAA exam 토론 요약 (AutoScaling, CloudFront) (0) | 2021.07.15 |
---|---|
AWS-SAA 인스턴스 구매 문제 (0) | 2021.07.13 |
AWS-SAA exam 토론 요약 (Storage, 라우팅정책) (0) | 2021.07.13 |
AWS-SAA 용어 정리 3 (CNAME, ALIAS) (0) | 2021.07.13 |
AWS-SAA DB와 쿼리 문제 (0) | 2021.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