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AWS/SA 자격증
Amazon Route 53 - 가용성과 확장성이 우수한 DNS, 도메인 이름 등록, 상태 확인을 할 수 있는 웹 서비스입니다. - 전화번호부 처럼 도메인 이름의 IP주소를 관리합니다. Amazon CloudFront - 짧은 지연 시간과 빠른 전송속도로 여러 정보를 전 세계에 안전하게 전송하는 고속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서비스입니다.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S3) - 데이터를 저장하고 보호하는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입니다. - 다양한 데이터 액세스에 맞춘 요금제도를 지원하는 S3 스토리지 클래스가 있습니다. - S3 수명주기 정책을 통해 액세스 패턴에 따라 더 저렴한 요금의 스토리지 클래스로 이동을 실행합니다. S3에 관한 내용은 이 게시물을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
·AWS/실습(입문)
이번에는 이해하기 새로 접하는 용어들이 많기에 용어부터 이해하고 시작하겠습니다. VPC(Virtual Private Cloud)란? 자신만의 가상 클라우드를 만들어 그 안에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작동할 수 있습니다. VPC별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고 각 VPC마다 네트워크 설정을 다르게 줄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를 퍼블릭과 프라이빗 영역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해주기에 유용합니다. 서브넷이란? 네트워크 영역을 부분적으로 나눈 망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IP 네트워크 주소를 지역적으로 나누어 서로 연결된 여러 지역의 네트워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AWS에서는 VPC내에서도 서브넷을 통해 네트워크를 분리할 수 있지만 서브넷은 1개의 가용 영역(AZ)에 종속되어야 합니다. 퍼블릭 서..
·AWS/SA 자격증
Amazon DynamoDB - NoSQL(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로서 확장성과 빠르고 예측 가능한 성능을 제공합니다. - 데이터 규모에 관계없이 데이터를 저장 및 검색하고 성능 저하 없이 테이블의 처리능력을 확장 및 축소할 수 있습니다. - 10밀리초 미만의 응답시간을 제공하고 더 빠른 액세스가 필요한 사례를 위해 Dynamo DB Accelerator는 메모리 캐시를 제공합니다. - 서버리스이므로 소포트웨어를 설치하거나 운영할 필요가 없습니다. - AS DynamoDB는 용량을 정의하는 두가지 모드가 있는데 온디맨드 용량 모드는 애플리케이션에서 한달 동안 소비하는 읽기 및 쓰기 요청 단위의 양을 기준으로 가격이 책정되며 예측할 수 없거나 급증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옵션입니다. 다만 비용은 훨씬..
·AWS/SA 자격증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s(S3) -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구축된 하나의 저장 공간입니다. -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Google Drive나 Naver Mybox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고 생각합니다. - AWS S3는 확장성이 뛰어나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므로 작은 규모에서 시작해 성능 또는 안정성의 저하없이 원하는 대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 - S3는 다양한 스토리지 클래스가 있는데 자주 액세스하는 데이터의 범용 스토리지를 위한 S3 STANDARD, 액세스 빈도는 덜하지만 즉시 액세스 할 수 있는 데이터를 위한 S3 STANDARD_IA Standard_IA와 기능은 동일하나 한 군데의 AZ에만 저장되는 S3 One Zone..
·AWS/SA 자격증
Amazon Auto Scaling - 애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하고 용량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최대한의 저렴한 비용으로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성능을 유지시킵니다. - 간단하게 말해 CPU, 메모리, 디스크 등과 같은 자원들을 모니터링하여 서버 사이즈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입니다. - 사용자들은 서비스 부하에 따른 예상치 못한 비용들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비용 절감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 Minimum size는 최소한의 인스턴스를 의미하며 Desired capacity는 현재 사용 용량, 기대 용량이며 서버의 부하에 따라 남은 2개의 서버를 추가할 수 있고 혹은 1개의 서버만을 운용할 수도 있게끔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Auto Scaling group이라고 합니다. - 이를 이용하여 AWS..
·AWS/실습(입문)
먼저 인스턴스의 뜻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인스턴스란? 어떠한 개념에 대하여 실질적인 값이나 개체, 객체를 형성하는 것을 아우르는 단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는 인스턴스가 객체를 의미하거나 EC2에서는 인스턴스가 가상서버를 의미 EC2에서 인스턴스는 크게 2가지로 나뉩니다. EBS(Amazon Elastic Block Store) 기반 인스턴스 : 중지 및 재부팅이 가능함. 인스턴스 스토어 기반 인스턴스 : 중지가 불가능하며 재부팅은 가능함. 이러한 인스턴스를 구입하는데 옵션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몇가지에 대해서만 말하겠습니다. 온디맨드 인스턴스 : 시간 단위로 과금이 이루어지며 공용 인스턴스에서 자신의 할당량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예약 인스턴스 : 1년 또는 3년 단위로 예약하여 사용함으로 가격이 대폭 할..
·AWS/실습(입문)
AWS에 들어가기 전 클라우드의 개념부터 알아봤습니다. 클라우드란? 인터넷을 통해서 언제 어디서든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만큼 IT 리소스(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크)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하는 서비스입니다. 쉽게 볼 수 있는 네이버 클라우드, 구글 드라이브 또한 일종의 클라우드 입니다. 클라우드는 크게 SaaS (Software as a Service), PaaS (Platform as a Service),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로 나뉩니다. 위 쪽일수록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의 비중은 줄어들게 됩니다. SaaS : 인터넷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빌려쓰는 서비스 (Dropbox, Naver Cloud, MS office 365 등) PaaS : 소프트웨어 서비스..
지나가는 지식들을 모아두기
'aws' 태그의 글 목록